March 23, 2025

동양 서예 관련 협회 명칭 제안 보고서

현재 사용되는 명칭들이 지닌 한계를 분석하고, 동양 서예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언어적 및 문화적 뉘앙스를 고려한 적절한 대안을 제안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설립 또는 운영 중인 동양 서예 관련 협회가 보다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명칭을 선택하는 데 전문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협회의 명칭은 단순히 불리는 이름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그 조직의 첫인상을 형성하고,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동양 서예라는 풍부한 역사와 다채로운 표현 양식을 담아낼 수 있는 신중한 명칭 선정이 요구됩니다.

동양 서예 관련 협회 명칭 제안 보고서

I. 서론: 동양 서예 대표 명칭의 중요성

협회의 명칭은 그 정체성, 범위, 가치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동양 서예 협회의 경우, 잘 선택된 명칭은 회원들을 유치하고, 협회의 사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예술계 내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보고서는 동양 서예 협회를 위한 명칭을 선정하는 데 있어 정확성과 포괄성을 모두 고려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현재 사용되는 명칭들이 지닌 한계를 분석하고, 동양 서예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언어적 및 문화적 뉘앙스를 고려한 적절한 대안을 제안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설립 또는 운영 중인 동양 서예 관련 협회가 보다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명칭을 선택하는 데 전문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협회의 명칭은 단순히 불리는 이름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그 조직의 첫인상을 형성하고,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동양 서예라는 풍부한 역사와 다채로운 표현 양식을 담아낼 수 있는 신중한 명칭 선정이 요구됩니다.

II. 현재 사용되는 명칭 분석

A. '동양서예협회' (Korean)

'동양서예협회'는 "Oriental Calligraphy Association"을 한국어로 직역한 명칭입니다.

역사적으로 한국에서 '동양'이라는 용어는 서양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동쪽 지역을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 '동양'이라는 용어는 서구 중심적인 관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식되며,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와 지역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제적인 맥락에서 '동양'이라는 용어는 시대에 뒤떨어지고 부적절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양서예협회'라는 명칭은 한국 내에서는 여전히 이해될 수 있지만, 국제적인 협력과 교류를 목표로 하는 협회의 경우, 보다 현대적이고 지리적으로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언어와 용어는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그 의미와 함의가 달라지기 때문에, 협회의 명칭 또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B. 'Oriental Calligraphy Association' (English)

"Oriental Calligraphy Association"에서 사용된 "Oriental"이라는 용어는 18세기와 19세기 서구 학문과 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아시아를 이국적이고 신비롭게 묘사하는 데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현대 영어 사용에서 "Oriental"은 시대에 뒤떨어지고 부정확하며, 심지어 모욕적인 용어로 간주됩니다.

이는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와 지역을 단일하고 종종 고정관념적인 틀로 묶어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동양, 특히 동아시아의 고유한 예술 전통에 초점을 맞춘 협회의 명칭에 "Oriental"을 사용하는 것은 국제 사회에서 문화적 감수성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진정으로 포용적이고 존중하는 국제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언어는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가 아니라, 특정 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C. 'The Asian Society of Calligraphic Arts (ASCA)' (English)

"Asian"이라는 용어는 "Oriental"보다 더 넓은 지리적 범위를 포괄하며, 더 포용적인 표현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시아는 매우 넓고 다양한 대륙으로, 각 지역마다 고유한 문화와 예술 전통을 지니고 있습니다.

서예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아시아의 여러 지역(예: 인도, 동남아시아)에서도 존재하지만, 동아시아(중국, 일본, 한국, 그리고 잠재적으로 베트남, 몽골) 내의 서예는 한자 문화권이라는 공통 기반을 바탕으로 독특한 양식, 기법, 역사적 발전을 이루어왔습니다1.. 스니펫3는 "동양화"를 정의하면서 인도까지 포함하고 있어, "Asian"이라는 용어가 협회의 주요 관심사인 동아시아 서예 전통에 대한 명확한 초점을 흐리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Asian"이라는 용어는 포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협회의 핵심 목표와 전문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에는 다소 광범위할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지역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협회의 정체성을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III. 동양 서예의 본질: 명칭 고려 사항

A. 서예와 회화의 역사적 연관성 ('서화')

동양 예술 철학의 핵심에는 서예와 회화가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개념, 즉 '서화'(書畫)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붓과 먹이라는 공통된 도구를 사용하고, 유사한 미학적 감수성을 공유하는 이 두 예술 형태는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표현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스니펫44는 "書畵同源論"(서화동원론)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며 이러한 근본적인 통일성을 보여줍니다. 스니펫5는 "동양화는 서예와 함께 서화(書畫)로 불렸으며 이는 서예가 동양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음을 의미합니다"라고 밝혀, 서예가 동양 회화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했음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철학적 통일성은 협회의 명칭에 '서화'라는 개념을 포함함으로써 동양 서예의 총체적인 예술 전통을 강력하게 전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단순한 쓰기 기술을 넘어선 예술적 깊이와 문화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스니펫6는 현대적인 이해에서도 "서화는 글書과 그림畵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선조들의 깊은 탐구가 담겨있다"고 설명합니다.

B. 붓과 먹의 중요성 ('필묵')

'필묵'(筆墨)은 글자 그대로 "붓과 먹"을 의미하며, 동양 서예와 회화의 기본적인 도구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예술 형태의 미학적 원칙과 철학적 기반을 구현합니다. 붓의 숙련된 사용과 먹의 미묘한 농담은 서예의 표현력과 예술적 가치의 핵심입니다. 스니펫7는 동양 회화에서 '필묵'의 이론적, 실제적 측면을 자세히 다루며, '필법'(붓 기법)과 '묵법'(먹 기법)의 상호 작용을 강조합니다. 스니펫7는 "필묵예술에 있어 정신성 못지 않게 중요한 특성은 도구와 재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다...흔히 서예와 사군자화를 선의 예술이라 하나 그것이 단순한 선과 점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 선과 점은 자연의 선이 아닌 필묵의 수련을 통한 인문화의 과정을 거친 획선인 것이다"라고 언급하며, '필묵'이 서예를 포함하는 예술임을 명확히 합니다.

협회의 명칭에 '필묵'을 포함하는 것은 동양 서예를 정의하는 전통적인 기법과 재료에 대한 초점을 즉시적으로 나타내어, 서예가와 이 분야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줄 수 있습니다. 스니펫10는 '필묵'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예술 정신을 상징한다고 강조합니다.

C. 언어적 다양성: 書道 (일본), 书法 (중국), 서예 (한국)

서예는 주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용어로 인식됩니다. 일본에서는 '書道'(Shodo), 중국에서는 '书法'(Shufa), 한국에서는 '서예'(Seoye)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모두 아름다운 글쓰기 예술을 지칭하지만, 고유한 문화적 뉘앙스와 역사적 맥락을 지니고 있습니다. 스니펫11은 이러한 다양한 용어와 때로는 그 미묘한 문화적 의미를 강조합니다. 스니펫12는 베트남에서 'thư pháp'이라고 불린다는 점도 언급합니다. 스니펫14는 각 국가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문화적 중요성을 지적합니다.

협회의 명칭 전략에서 이러한 언어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은 동아시아 내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포용성과 존중을 보여주는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부제, 사명 선언문, 또는 이러한 용어들의 요소를 의미 있는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음역한 명칭을 탐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습니다.

D. 범위 정의: "동아시아" vs. "아시아" vs. "동양"

지리적 기술어의 선택은 협회의 범위와 대상 독자를 정의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동양"은 광범위하게 문제가 있는 용어로 간주됩니다. "아시아"는 지리적으로 넓지만, 한자 문화권에 뿌리를 둔 동아시아 서예의 공유된 유산과는 구별되는 서예 전통(예: 아랍, 인도)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스니펫1은 "동아시아"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중국, 일본, 한국, 몽골, 대만, 홍콩, 그리고 때로는 베트남을 포함합니다.

"동아시아"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서예의 핵심 전통과 일치하는 보다 지리적, 문화적으로 구체적인 초점을 제공합니다. 서예가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도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동아시아"라는 명칭은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모욕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협회의 주요 관심 분야를 명확하게 나타낼 것입니다. 스니펫3에서 "동양화"에 인도를 포함한 것은 더 넓은 용어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을 강조합니다.

IV. 제안된 대안 명칭: 언어적 및 문화적 뉘앙스 탐색

A. '서화' (Seohwa) 포함

예시:

  • 동아시아 서화 예술 협회
  • 동아시아 서화 학회
  • 동아시아 필묵 서화 협회 (도구적 측면 강조)
  • 논리적 근거: 예술 형태의 역사적 통일성을 반영합니다.
  • 시사점: '서화'라는 용어는 동아시아 미술사를 깊이 이해하는 학자 및 애호가들에게 어필할 수 있습니다.

B. '필묵' (Philmuk) 강조

예시:

  • 동아시아 필묵 서예 협회
  • 아시아 필묵 예술 학회
  • 국제 필묵 학회
  • 논리적 근거: 핵심 매체와 기법을 강조합니다.
  • 시사점: '필묵'은 예술적 실천과 관련된 독특한 용어로서 차별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C. '동아시아'를 사용한 지리적 명확성 확보

예시:

  • 동아시아 서예 협회
  • 동아시아 서예 예술 학회
  • 동아시아 서예 및 관련 예술 협회
  • 논리적 근거: 명확하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지역적 초점을 제공합니다.
  • 시사점: "동아시아"는 "동양"보다 중립적이고 지리적으로 정확한 용어입니다.

D. 언어적 다양성 반영 (부제 또는 사명 선언문 활용)

예시:

  • 동아시아 서예 협회 (書道, 书法, 서예 포함)
  • 동아시아 서예 예술 학회 - Shodo, Shufa, Seoye
  • 논리적 근거: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명칭을 인정합니다.
  • 시사점: 이는 포용성을 보여주고 동아시아 내의 언어적 다양성을 존중함을 나타냅니다.
  • E. 추상적이거나 연상적인 명칭 탐색

예시:

  • 동아시아 유묵 학회 (흐르는 듯한 붓의 움직임 강조)
  • 묵향 조화 협회 (먹의 아름다움과 균형 강조)
  • 동아시아 필획 예술 공동체 (현대적인 용어 사용)
  • 논리적 근거: 독특한 정체성을 창출하고 더 넓은 аудитории에 어필할 수 있습니다.
  • 시사점: 추상적인 명칭은 언어적 장벽을 넘어 예술적 특성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F. "서예" 대 "서예술" 고려

예시:

  • 동아시아 서예 예술 학회 (ASCA와 유사하나 지역 초점)
  • 동아시아 서예 협회 (더 직접적이고 널리 이해됨)
  • 논리적 근거: "서예술"은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시사점: 협회가 실기뿐만 아니라 연구, 역사 등 더 넓은 범위를 포함하고자 하는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V. 최적 명칭 선정을 위한 권장 사항

A. 명확성과 정확성: 명칭은 협회의 초점이 동아시아 서예에 있음을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게 전달해야 합니다.

B. 포용성과 감수성: "동양"과 같이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잠재적으로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용어는 피해야 합니다. "아시아"는 더 넓은 범위이지만, "동아시아"는 더 정확한 지리적 범위를 제공합니다. 선택된 명칭은 문화적 뉘앙스에 민감해야 하며, 배타적이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언어를 피해야 합니다.

C. 문화적 관련성: '서화'와 같은 용어를 포함하거나, 언어적 다양성('書道', '书法', '서예')을 인정하는 것은 문화적 풍부함을 더하고, 동아시아 서예의 다양한 유산에 대한 협회의 헌신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는 주요 명칭, 부제 또는 사명 선언문을 통해 달성할 수 있습니다.

D. 기억 용이성과 매력: 기억하고 발음하기 쉬운 명칭은 협회의 가시성과 인지도를 높일 것입니다. 또한 잠재적 회원, 학자, 예술가 및 동아시아 예술 문화에 관심 있는 일반 대중에게 매력적이어야 합니다.

E. 미래 확장성: 협회의 장기적인 비전을 고려하십시오. 서예와 관련된 다른 예술 형태(예: 전각, 표구)로 확장하거나, 핵심 동아시아 국가 외의 지역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면, 명칭은 부정확해지지 않으면서도 미래의 성장을 허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F. 언어적 고려 사항: 국제 협회의 경우,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에서 명칭이 어떻게 번역되고 인식되는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언어에서 명칭이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의미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G. 가용성: 명칭을 확정하기 전에, 특히 서예 또는 동아시아 예술 분야에서 유사한 명칭을 가진 다른 조직이 없는지 철저히 조사하십시오. 이는 혼동과 잠재적인 법적 문제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H. 자문: 해당 분야 전문가, 다양한 동아시아 국가의 서예가, 잠재적 회원들과 협의하여 제안된 명칭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피드백을 수집하십시오. 이러한 협력적 접근 방식은 더 정보에 입각하고 널리 받아들여지는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VI. 결론

동아시아 서예 협회를 위한 최적의 명칭을 선택하는 것은 역사적 맥락, 예술적 본질, 문화적 감수성, 언어적 뉘앙스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는 다면적인 과정입니다. 현재 명칭 분석은 시대에 뒤떨어진 용어와 지나치게 광범위한 지리적 기술어의 한계를 보여줍니다.
'서화'의 통일성, '필묵'의 중요성, 지역 내 언어적 다양성과 같은 동양 서예의 핵심 요소를 탐구함으로써 예술 형태에 대한 더 풍부한 이해가 가능해지며, 이는 더 적절한 대안을 제안하는 견고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제안된 명칭은 전통과 매체를 강조하는 것부터 지리적 정확성과 포용성에 초점을 맞춘 것까지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권장 사항은 사용자가 협회의 특정 목표와 대상 독자를 기반으로 이러한 옵션을 평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선택된 명칭은 협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회원을 유치하며, 그 사명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신중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은 동아시아 서예 예술을 홍보하고 보존하는 데 있어 조직의 성공과 영향력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완벽한 명칭을 찾는 과정은 다양한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상적인 명칭은 과거를 존중하고 현재와 관련이 있으며, 동아시아 서예의 본질을 정확하게 반영하면서 포용성과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수용하는 명칭일 것입니다.

표 1: 현재 명칭과 제안된 명칭 비교

참고 자료

  1. yozm.wishket.com,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yozm.wishket.com/magazine/questions/share/h8td4D8ct0Jguede/#:~:text=%EB%8F%99%EC%96%91%EB%AC%B8%ED%99%94%EA%B6%8C%EC%9D%80%20%EC%9D%BC%EB%B0%98%EC%A0%81%EC%9C%BC%EB%A1%9C,%EB%93%B1%EC%9D%B4%20%ED%8F%AC%ED%95%A8%EB%90%A0%20%EC%88%98%20%EC%9E%88%EC%8A%B5%EB%8B%88%EB%8B%A4.
  2. 동양문화권 범위 | 물어봐 AI - 요즘IT,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yozm.wishket.com/magazine/questions/share/h8td4D8ct0Jguede/
  3. namu.wiki,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8F%99%EC%96%91%ED%99%94#:~:text=%EC%84%9C%EC%96%91%20%ED%9A%8C%ED%99%94%EC%97%90%20%EB%8C%80%EB%B9%84%EB%90%98%EB%8A%94,%ED%9A%8C%ED%99%94%EB%A5%BC%20%EC%B4%9D%EC%B9%AD%ED%95%98%EB%8A%94%20%EB%A7%90%EC%9D%B4%EB%8B%A4.
  4. [CEO를 위한 미술산책] "글씨와 그림은 한 몸"…붓 사용법에서 엿보는 동양의 통합적 사고,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4011793281
  5. 동양화(東洋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678
  6. 붓끝으로 춤을 추다 - 남가람박물관,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namgaram.or.kr/exhibition/%EB%B6%93%EB%81%9D%EC%9C%BC%EB%A1%9C-%EC%B6%A4%EC%9D%84-%EC%B6%94%EB%8B%A4/
  7. 新文人畵의 暢神 - THE MONTHLY ART MAGAZINE-ART KOREA WEBZINE,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galleryartkorea.kr/Main/Main.asp?GotoPage=200305/12/14/200305121414&BK_Main=200305
  8. 수묵의 정신성 : 네이버 블로그,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pumucle200/140008013285
  9. 필묵 - 월간미술,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monthlyart.com/encyclopedia/%ED%95%84%EB%AC%B5/
  10. 필+묵 사유하는 실천 展 - 20240105 - 전시메일,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artmail.com/db/2024/20240105-gjjs.htm
  11. 벽암(김정남)의 서예이야기 - 글씨 21,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geulc21.com/brush/view.html?tname=b_brush&idx=322
  12. 서예 - 나무위키,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84%9C%EC%98%88
  13. 동아시아 문자, 미를 탐하다 - 대학지성 In&Out,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52
  14. [월요편지] (38) 書法, 書道, 書藝(서법, 서도, 서예) - 덴포라인(Denfoline),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denfo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43
  15. 서법, 서도, 서예 : 네이버 블로그,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pljh01/40052908489?viewType=pc
  16. ko.wikipedia.org,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95%84%EC%8B%9C%EC%95%84#:~:text=%EB%8F%99%EC%95%84%EC%8B%9C%EC%95%84%EB%8A%94%20%EB%B6%81%EC%AA%BD%EC%9C%BC%EB%A1%9C%20%EC%8B%9C%EB%B2%A0%EB%A6%AC%EC%95%84,%EC%82%B0%EC%95%85%20%EC%A7%80%EB%8C%80%EA%B0%80%20%ED%8F%AC%ED%95%A8%EB%90%9C%EB%8B%A4.
  17. 동아시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95%84%EC%8B%9C%EC%95%84
  18. 동아시아사 학습의 시작 - 동북아역사넷,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edeao.d_0001_0010_0010
  19. 동아시아 (r2664 판) - 나무위키,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8F%99%EC%95%84%EC%8B%9C%EC%95%84?uuid=7d73bdf9-f37a-4da4-b025-2b38e2dc36d7
  20. 1 동아시아와 동아시아사 - 2 자연환경과 생업,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textbook-miraen.cdn.x-cdn.com/textbook/newbook/high/east_asia/%EA%B3%A0)%EB%8F%99%EC%95%84%EC%8B%9C%EC%95%84%EC%82%AC_%EA%B5%90%EA%B3%BC%EC%84%9C.pdf
  21. 동아시아 - 나무위키, 3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8F%99%EC%95%84%EC%8B%9C%EC%95%84

동양서예협회

The Asian Society of Calligraphic Arts (ASCA)
社團法人 東洋書藝協會
OrientalCalligraphy.Org
동양서예 상품 특별할인 후원 ・ 제휴사 특별혜택

청년작가

  • 30대 이하 예술가 대상
  • 모든 전시회 참가 자격
  • 작가 프로필 및 작품 전시
  • 협회 자료 무료 제공
  • 전시 및 행사 참여
동양서예 상품 특별할인 후원 ・ 제휴사 특별혜택

일반작가

  • 40대 이상 작가
  • 전시회 우선 참가
  • 작품 전시 기회
  • 회의 참석 및 의결권
  • 전시 및 행사 참여
동양서예 상품 특별할인 후원 ・ 제휴사 특별혜택

추천작가

  • 특별 전시회 참가
  • 작품 우선 전시
  • 청년・일반작가 멘토링
  • 해외 전시회 참가
  • 전시 및 행사 참여
동양서예 상품 특별할인 후원 ・ 제휴사 특별혜택

초대작가

  • 초대작가전 참여
  • 작품 최우선 전시
  • 해외 전시회 참가
  • 운영・심사위원회 후보자격
  • 전시 및 행사 참여
동양서예 상품 특별할인 후원 ・ 제휴사 특별혜택

임원

  • 협회 운영 및 의사결정 참여
  • 전시 및 행사 기획 ・ 총괄
  • 신진 추천・초대작가 멘토링
  • 운영・심사위원회 참여
  • 전시 및 행사 참여 기회
동양서예 상품 특별할인 후원 ・ 제휴사 특별혜택

최근 소식들

찾아보기

Follow us on 

Instagram

소정아 초대작가 작품
로해정 초대작가 작품
성곡 임현기 초대작가 작품